기고문 684개의 글

329호 - 연평도 포격도발 3주년, 그날의 포성소리를 기억하자

    23일은 연평도 포격 3주년이다.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서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해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한 참사이다. 김정은으로의 3대 세습을 본격화한 북한이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4분 서해 연평도의 우리 해병대 기지와 민간인 마을에 해안포와 곡사포로 추정되는 포탄 100여 발을 발사했으며 북한의 포격 도발로 인해 해병대 2명이 사망하고 16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민간인은 2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당했다. 한반도 전쟁은 잠시 휴전으로 멈추고 있지만 북한이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어 국가 안...

328호 - 부산을 향하여(Turn toward Busan)

  11월 11일이 무슨 날인지 우리 국민들에게 물어보면 대다수의 국민들이 연인, 가족, 친구에게 과자를 선물하는 ‘빼빼로데이’라는 이벤트성 기념일을 가장 먼저 떠올릴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날은 우리가 잘 모르고 지내지만 꼭 기억해야하는 큰 의미가 담겨있는 날이...

327호 - 주민등록번호 도용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요즘 인터넷 기술이 발달 하면서 생활 환경이 빠르고 편리해진 만큼 해킹 또는 사이버 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 각 소상공인 중소기업 대기업 등 많은 곳에서 각별히 주의하며 개인정보 유출 피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정보보안에 더...

326호 - 안중근의사 기념관을 가보신 적 있나요?

        몇해 전 참새처럼 재잘대는 초등학생들과 함께 남산에 있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을 방문한 적이 있다. 한참 왁자지껄하며 떠들던 아이들은 안중근 기념관에 가까워오자 조금은 숙연한 분위기가 되었고, 기념관에서 나오신 학예사님은 아이들 앞에 서셨다.  그때...

326호 - 등산시 산악안전 예방과 조난대책

  본격적으로 실시된 주5일 근무제의 영향과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주말 여가 활동과 체력 단련을 위하여 산을 찾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등산 인구의 증가는 산에서의 안전사고의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산악사고와 조난의 원인은 크게 폭우, 바람, 벼락, 햇빛, 안개, 낙석, 눈 등의 자연적 위험과 방심과 부주의, 판단미숙, 준비와 정보부족, 경험 및 기술부족 등 인위적 위험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산악사고와 조난은 위험에 미리 준비하고 충분히 훈련하고 위험을 느꼈을 때 신중하게 대처 나간다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