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3. 11. 13.
부산을 향하여(Turn toward Busan)
서울북부보훈지청장 강 성 만
11월 11일이 무슨 날인지 우리 국민들에게 물어보면 대다수의 국민들이 연인, 가족, 친구에게 과자를 선물하는 ‘빼빼로데이’라는 이벤트성 기념일을 가장 먼저 떠올릴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날은 우리가 잘 모르고 지내지만 꼭 기억해야하는 큰 의미가 담겨있는 날이다.
역사적으로 1918년 11월 11일은 제1차 세계대전이 종료된 날이다. 영연방국(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종전일 11월 11일을 우리의 6월 6일 현충일과 같이 ‘Remembrance day’로 지정하고, 미국에서는 ‘Veterans Day’(제대군인의 날)로 지정하여 각각 참전군인의 희생과 헌신에 대하여 추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날을 기하여 부산UN기념공원에서는 6·25전쟁에 참전한 UN군 전사자들의 희생과 공헌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Turn toward Busan”(부산을 향하여) 행사를 거행한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하는 이 행사는 6.25전쟁 당시 종군기자로 활약했던 캐나다 한국군참전협회장 빈센트 커트니씨가 2007년 UN군 6.25전쟁 참전용사들이 잠들어 있는 세계 유일의 UN군 묘지인 부산UN기념공원을 향해 부산 현지 시간에 맞춰 같은 시간에 묵념과 추모 행사를 거행하자고 제안하며 시작되었다. 그래서 부산뿐만 아니라 미국, 영연방 4개국 등 8개국에서 매년 한국시간 11월 11일 오전 11시에 일제히 부산을 바라보며 사이렌과 함께 묵념을 하고 있다.
이들이 부산을 향해 묵념하는 것은 세계에서 유일한 UN군 전사자 무덤인 UN기념공원이 부산에 있기 때문이다. UN기념공원은 1951년 유엔군사령부가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의 유해를 안장하기 위해 조성하여 현재 미국, 영연방국(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터키 등 11개국의 전사자 2천 300여 명이 젊은 나이에 이름도 모르던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대한민국 땅을 밟았다가 생을 마감하고 이곳에서 영면하고 있다.
국가보훈처에서는 이 날을 기념하여 부산UN기념공원에서 각국 주한대사, 해외참전용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차원의 추모행사를 거행한다. 또한 매년 ‘UN참전용사 재방한 행사’를 통해 이역만리 작은 나라의 평화를 지키기 위하여 기꺼이 자신의 젊음을 희생한 해외참전용사를 초청하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있다.
올해는 6.25전쟁에 UN군으로 참전했다가 전사하여 UN기념공원에 안장되어 있는 영연방 4개국 전사자 유족 30여 명을 초청하여 UN기념공원 안장자 유족 초청행사를 갖는다. 특히 6.25전쟁에서 전사한 남편을 그리며 평생을 독신으로 지내다 죽어서 남편 곁에 묻히고 싶다는 William Ward(영국)씨의 뜻을 받들어 이번에 어머니의 유해를 가지고 방한하는 니콜슨씨 부부도 포함되었다.
이제 11월 11일을 “빼빼로데이”로만 기억할 것이 아니라 전 세계가 부산을 향하는 그 의미를 되새기자. 2013년 11월 11일 오전 11시! 우리 모두 부산을 향하여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전사한 UN참전국 젊은이들을 추모하고 감사드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