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20. 01. 15.
장위14구역, 조합장 및 임원 해임 주민총회 요구
150명 이상 동의서 제출, 주민총회서 50% 이상 찬성이면 조합장 해임 가결

(시사프리신문=김영국 기자) 장위14구역 주택재개발조합(이하 14구역)주민들이 들고 일어났다. 장위 14구역 주민들이 11년째 조합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박용수 조합장 및 일부 임원 해임안을 요구하는 주민총회를 개최하고자 주민들에게 동의서 징구에 나서면서 이슈가 되고 있다.
장위14구역 주민들은 지난 11년간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하자 박용수 조합장 해임요구안을 주민총회에 붙이기로 결정하고, 주민들에게 동의서 접수에 나섰다.
주민 대표로 나선 박태동, 임정섭 씨는 “조합이 설립된 지 11년이 넘었다. 그런데 현 집행부가 4회 연임하는 동안 이권이 조직화되고, 비리 부조리는 심화되어 왔으며, 조합원을 속이고, 사기 소송에 대상이 되는 참담한 실정에 직면하게 되었다”라고 해임요구에 대한 정당성을 밝혔다.
찬성조합원들 모임 밴드지기인 박종태 씨는 “조합해제 위기에 놓였을 때 주민들의 힘으로 재개발 진행이라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그런데 박용수 조합장은 주민들 의견은 무시하고 있고, 대의원 총회나 이사회는 조합장이 임명한 OS요원에 의해 서면 결의서를 징구하면서 조합장을 견제하는 기능은 상실한 상태다. 이를 복원하기 위해 지난 1년여 동안 꾸준하게 이의를 제기해 왔지만 조합에서는 주민 의견을 묵살하고 있다”고 조합장 해임 결의안 제기의 이유를 설명했다.
또한 주민 박태동 씨는 “이번에 추진하는 조합임원 해임요구는 신속한 사업진행을 찬성하는 임원을 해임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OS요원을 동원한 불공정 선거를 예방하고, 조합원의 진위가 반영된 임원을 선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 조합장의 무능으로 11년 동안 답보상태에 있는 14구역의 임원을 새로 선출하여 서울시로부터 인가·허가를 앞당기고, 사업수지를 개선하려고 해임결의안을 제출하게 되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렇게 주민들이 나선 것에 대해 현재 조합장을 맡고 있는 박용수 씨는 “이번 일을 주동하는 박태동 씨와 박종태 씨는 2017년에 집을 구입한 사람들로서 조합에 11차례에 거쳐 일반 자료와 회의 자료를 요구하면서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 지금 시점에서 조합장이 바뀌면 2~3년 정도 사업이 더 지연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임원이 되고 싶어하는 일부 사람들의 요구이니 주민들은 현혹되지 말아 달라”고 문자와 직원들을 시켜서 해명에 나섰다.
또한 박용수 조합장은 SNS 활동에 대해서도 의견은 제시했다.
박 조합장은 “찬성자 모임이라고 하면서 SNS(밴드)내에서 조합원들에게 악선전을 일삼고 있다. 또한, 2018년 10월 직권해제와 관련하여 주민의견조사 결과 60.85%로 사업 찬성 동의율로 사업이 재개되고, 1년 동안 조합에서는 정상궤도로 진입하기 위한 진행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고소 고발을 통해 비용과 시간이 지출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서면결의서는 도정법 42조5항에 조합원들은 서면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어 절차상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서면결의서를 가지고 문제를 삼는 것은 조합원들을 무시하는 처사다. 또한 OS요원들을 활용하는 것은 방문이 어려운 조합원들의 편의를 봐 주느라고 하는 것이다. 투표는 조합원들이 했고, 요원들은 전달과 같은 행정을 도와드린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기보다 총회 개최 시에 조합장 후보로 출마하여 조합원들의 심판을 받으면 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렇듯 같은 조합에서 하나의 의견을 가지고 두 개의 의견으로 나뉘고 있다.
그러나 장위14구역은 사업 촉진계획 변경인가 신청조차 받지 못하고 11년째 제자리걸음 중이다.
주민들과 조합의 이견을 정리해 보면 1) OS요원을 동원한 서면결의서의 맹점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조합 측에서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행한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2) 조합원들이 궁금한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요구하면 클린업시스템에 접속하여 보라고 이야기하고, 업무를 방해한다는 이유와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자료제출을 거부하고 있다. 3) 700여 명의 조합원이 모여서 만든 밴드를 조합에 반대하는 악선전 조직으로 치부하고 있다. 4) 조합 해제 위기에서 살아난 것을 양측이 서로 공을 가지려고 다투고 있다. 이렇듯 조합과 주민들은 두 개의 의견으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조합원들은 사업진행이 너무 느리게 진행되고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다.
조합에서는 지금이라도 지역주민들에게 빠르고 신속한 사업진행, 투명한 예산집행, 주민들 궁금한 점이나 불만해소를 약속해야 한다.
그리고 사업추진 일정에 대해 로드맵을 제시하고, 그 일정을 지키지 못할 때는 그 이유를 해명하고 합당한 이유로 주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주민들과 사안별로 부딪쳐서 싸우고 할퀴면 그 피해는 주민들 몫이다.
조합장은 월급받지만 주민들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것이 주민들의 재산을 지켜주는 것이고, 조합장으로서 그동안 월급을 받았던 것에 대한 예의가 될 것이다.
주민의견 무시·불통 조합외치는 주민들!
반대파의 일탈행위로 치부하는 조합!
2월 총회에서 결판
주무관청인 성북구청이나 성북구의회에서도 재재발 재건축과 관련한 사항은 위법사항만 없다면 최대한 신속하게 사업시행에 대한 빠른 절차를 약속하고 있다.
성북구의회 임태근 의장은 “재개발과 관련한 사항은 주민들의 재산상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관여를 하지 못한다. 그러나 주민들 의견이 모아져서 주무부서에 접수가 된다면 의회차원에서 신속하게 업무를 처리할 계획이다. 조합을 만들어 놓고, 5년 10년 지나는 것은 조합과 시공사 배불리는 일이다. 건축 비용도 물가상승률 이상 불어나 주민들 부담이 점점 늘어나기 때문이다”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