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5. 12. 03.


늘어나는 전동 휠체어 주차와 통행 대책 마련해야

강북구의회  김명숙 의원


전동 휠체어 이용하는 장애인의 숫자가 점점 늘고 있다.
2015년 현재 강북구에서 사용되는 전동 휠체어는 1500~2,000대로 추산되며 등록제가 아니라서 정확한 숫자도 파악이 안된 실정이다.
전동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분이나 산재 등으로 장애가 되신 분들이 구청이나 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등에서 일정액을 지원받아 구입하고 있다.
늘어나는 전동 휠체어숫자에 비해 주차공간이나 통행불편 그리고 고장수리 등 대책이 뒤따르지 않아 강북구의 장애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첫째, 주차문제이다.
매년 늘어가는 전동 휠체어 이용자의 주차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장애인들의 행사가 있을 때는 주차 할 곳을 못 찾아 헤매다 결국 먼 곳에 주차하고  불편한 걸음들을 하신다.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는 그 나마 공간이 여유롭지만 다세대나 빌라에 사시는 분들은 비가 오는 날에는 비를 막을 곳도 없어 우산을 펴 놓거나 비닐로 덮어 씌워 주차를 시켜놓는 현실을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이다.
둘째 통행 불편에 따른 대책이 필요하다.
편편하지 못한 인도는 휠체어에 무리를 많이 주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된다. 위험하지만 어쩔 수 없이 도로로 나와 운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전동 휠체어는 교통수단이 아닌 의료기기법에 적용을 받는 의료기기에 해당되어 장애인 보호 장구로 자동차나 자전거 등으로의 보험가입도 불가한 입장이다. 사고가 났을 경우 보호 받을 수가 없다고 한다.
셋째  전동휠체어  고장수리 대책이다.
휠체어의 주요 고장원인은 타이어의 노후나 펑크 수리건,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이용자의 체중으로 인한 발판의 망가짐이 많고 배터리의 수명도 짧아 교체비용이 부담이 많다.
수리비용은 구청지원으로 1인당 년 20만원 한도 내에서 밧데리나 부품을 수리할 수 있다. 고장이 큰 경우 본인이 추가 부담해야 한다.
특히 강북구 번동, 인수동은  급경사가 많아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노령인구가 많은 강북구는 전동휠체어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자의 불편이 해소 되도록 장애인 단체와 강북구청, 구의회가  머리를 맞대고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검색